명칭 |
심사위원구성 |
|
|
|
회장, 수석부회장, 전무이사, 총무이사, 회장 위촉 3명 : 총 7명 |
회장, 수석부회장, 전무이사, 총무이사, 학술위원장, 회장 위촉 2명 : 총 7명 |
회장, 수석부회장, 전무이사, 총무이사, 산학협동위원장, 회장 위촉 2명 : 총 7명 |
회장, 수석부회장, 전무이사, 총무이사, 산학협동위원장, 회장 위촉 2명 : 총 7명 |
 |
|
|
|
 |
명칭 |
시상내용 |
시상시기 |
심사 |
시상규정 |
상패/1000만원 |
추계 (격년, 홀수해) |
상암 고분자상 심사위원회 |
 |
(2005년부터 격년)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상암고분자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의 발전을 위하고 또한 고분자 분야의 진취적 연구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탁월한 업적을 이룩한 자에게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본 상의 수상자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본 학회 회원이며, 학회의 발전과 고분자과학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룩한 자로 한다. |
제 4조 |
(수상자의 선정) 지원자 및 학회상심사위원회의 추천자를 대상으로 상암고분자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하고 이사회의 인준에 의해 확정한다. |
제 5조 |
(심사위원회의 구성) 심사위원회는 회장, 수석부회장, 전무이사, 총무이사 및 회장이 위촉한 3명을 포함하여 총 7명으로 한다. |
제 6조 |
(시상) 본 상의 시상은 격년으로 한국고분자학회 추계총회에서 하며, 시상자에게는 상패(또는 증서)와 상금을 수여한다. 시상자는 정기총회에서 초청강연을 하도록 한다. |
제 7조 |
(상금) 상금은 본 상의 심사위원회에서 정한다. |
제 8조 |
(수상자의 수) 수상자는 1인으로 한다. |
부칙 |
(1) 본 규정 이외의 운영 및 시상에 필요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결정한다.
(2) 본 규정은 2013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19 | 김장주 | 서울대학교 |
2017 | 조길원 | 포항공과대학교 |
2015 | 이두성 | 성균관대학교 |
2013 | 박오옥 | KAIST |
2011 | 강용수 | 한양대학교 |
2009 | 장태현 | 포항공과대학교 |
2007 | 박정기 | KAIST |
2005 | 임승순 | 한양대학교 |
2004 | 진왕철 | 포항공과대학교 |
2003 | 김우식 안광덕 | 경북대학교 KIST |
2002 | 조원호 | 서울대학교 |
2001 | 심홍구 조종수 | KAIST 서울대학교 |
2000 | 김영하 | KIST |
1999 | 김성철 | KAIST |
1998 | 김정엽 | KIST |
1997 | 조원제 | 부산대학교 |
1996 | 조의환 | KAIST |
|
상패/300만원 |
추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고분자학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연구업적을 낸 중진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고분자과학 및 공학분야에 우수한 학술업적을 낸 중진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업적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해당기간 대표 업적자료를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300만원으로 하며 정기총회에서 초청강연을 하도록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04 | 조길원 | 포항공과대학교 |
2003 | 강용수 | KIST |
2002 | 장태현 | 포항공과대학교 |
2001 | 김환규 | 한남대학교 |
|
상패/1000만원 |
춘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삼성고분자학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과 고분자분야의 우수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탁월한 연구업적을 낸 중견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고분자과학 및 공학분야에 우수한 학술업적을 낸 중견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업적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업적자료를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 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1000만원으로 하며 정기총회에서 초청강연을 하도록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15 | 김종만 | 한양대학교 |
2014 | 김은경 | 연세대학교 |
2013 | 권익찬 | KIST |
2012 | 차국헌 | 서울대학교 |
2011 | 하창식 | 부산대학교 |
2010 | 박태관 | KAIST |
2009 | 김철희 | 인하대학교 |
2008 | 이명수 | 연세대학교 |
2007 | 박수영 | 서울대학교 |
2006 | 김진곤 | 포항공과대학교 |
2005 | 장정식 | 서울대학교 |
|
상패/1000만원 |
추계 |
롯데 산학연 협력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롯데 산학연 협력상"이라 한다. |
제 2조 |
(상의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 학계, 연구계 및 산업계 간의 실질적인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을 장려하기 위하여 탁월한 산학협력 성과를 이룩한 고분자과학 기술관련 연구자를 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시상 대상) 국내에서 고분자과학기술에 관련하여 탁월한 기술교육, 기술교류, 기술자문 등과 같은 산학협력 활동을 행하였거나 탁월한 연구개발 결과를 산업계에 이전함으로서 신기술에 대한 이해증진, 실용화 촉진을 통해 국가기술경쟁력 제고에 크게 기여한 중견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산학연 협력 관련 업적 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탁월한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 실적을 이룩하였는지 여부에 높은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응모 및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업적자료를 각 1부씩 제출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응모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
제 6조 |
(수상자 선정) 지원자 및 학회상심사위원회의 추천자를 대상으로 롯데 산학연 협력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제 7조 |
(시상) 시상은 매년 추계 정기총회에서 시상하며 상장과 부상 1,000만원을 수여한다. |
제 8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김성수 | 경희대학교 |
2019 | 김상율 | 한국과학기술원 |
2018 | 송기국 | 경희대학교 |
2017 | 김정안 | 경희대학교 |
2016 | 박수진 | 인하대학교 |
2015 | 나재운 | 순천대학교 |
2014 | 허완수 | 숭실대학교 |
2013 | 김진국 | 경상대학교 |
2012 | 김 일 | 부산대학교 |
2011 | 최길영 | 한국화학연구원 |
2010 | 최철림 | KIST |
|
상패/1000만원 |
추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도레이고분자상”으로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에서 고분자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낸 연구자를 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고분자과학 및 기술 분야에 우수한 업적을 낸 중견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고분자 과학 및 기술 분야 관련 업적 전체를 평가하나 특정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높은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피추천자는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업적자료를 각 1부씩 제출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응모 제출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응모자가 없을 경우 도레이고분자상 심사위원회에서 피추천자를 추천할 수 있다.
|
제 6조 |
(수상자의 선정) 지원자 및 학회상심사위원회의 추천자를 대상으로 도레이고분자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제 7조 |
(시상) 시상은 매년 추계정기총회에서 상장과 부상으로 1,000만원을 수여한다. |
제 8조 |
(수상자의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이종찬 | 서울대학교 |
2019 | 이진호 | 한남대학교 |
2018 | 진성호 | 부산대학교 |
2017 | 한동근 | 차의과학대학교 |
2016 | 강인규 | 경북대학교 |
2015 | 김수현 | KIST |
2014 | 김윤희 | 경상대학교 |
2013 | 최동훈 | 고려대학교 |
2012 | 이문호 | 포항공과대학교 |
|
상패/1000만원 |
춘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2013년도만 추계수상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본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LG화학 고분자학술상”으로 한다. |
제 2조 |
(목적) 본 상은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물리화학 및 고분자 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낸 연구자를 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수상자의 자격) 본 상의 수상자는 대한민국 국민으로 본 학회 회원이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물리화학 및 고분자 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업적을 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고분자 합성, 고분자 물리화학 및 고분자 공학 분야 관련 업적 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정회원 3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업적자료를 각 1부씩 제출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응모 제출한다.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회원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 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 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응모자가 없을 경우에는 LG화학 고분자학술상 심사위원회에서 피추천자를 추천할 수 있다. |
제 6조 |
(수상자의 선정) 지원자 및 학회상심사위원회의 추천자를 대상으로 LG화학 고분자학술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제 7조 |
(시상) 시상은 매년 춘계정기총회에서 상장과 부상으로 1,000만 원을 수여한다. 단, 시행 첫 해인 2013년에는 추계정기총회에서 시상한다. |
제 8조 |
(수상자의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백종범 | 울산과학기술원 |
2019 | 박수영 | 경북대학교 |
2018 | 박기동 | 아주대학교 |
2017 | 이광섭 | 한남대학교 |
2016 | 김상율 | KAIST |
2015 | 김성훈 | 한양대학교 |
2014 | 박찬언 | 포항공과대학교 |
2013 | 이재석 | 광주과학기술원 |
|
상장/1000만원 |
춘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한화고분자학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과 고분자분야의 우수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기 위하여 탁월한 연구업적을 낸 중견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고분자과학 및 공학분야에 우수한 학술업적을 낸 중견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업적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업적자료를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 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1000만원으로 하며 정기총회에서 초청강연을 하도록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김덕준 | 성균관대학교 |
2019 | 이희우 | 서강대학교 |
2018 | 김환규 | 고려대학교 |
2017 | 서용석 | 서울대학교 |
|
상패/200만원 |
추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고분자논문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 과학과 공학의 발전과 고분자 분야의 진취적 연구 활동에 기여한 탁월한 연구논문을 국내외 저명학술지에 발표한 우수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수행한 고분자 과학 및 공학 분야의 연구결과로 주목을 받은 업적을 낸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최근 5년간 대표논문 5편의 수월성을 심사한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논문, 대표논문의 수월성을 입증하는 자료를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 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연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200만원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12 | 박지웅 | 광주과학기술원 |
2011 | 김성훈 | 한양대학교 |
2010 | 윤호규 | 고려대학교 |
2009 | 이종찬 | 서울대학교 |
2008 | 나재운 | 순천대학교 |
2007 | 최형진 | 인하대학교 |
2006 | 이재석 | 광주과학기술원 |
2005 | 강인규 | 경북대학교 |
|
상패/500만원 |
추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KOPTRI 고분자 학술상”으로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에서 고분자 과학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낸 연구자를 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고분자과학기술 분야에 우수한 업적을 낸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상 경과한 중견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고분자 과학기술 업적 전체를 평가한다. |
제 5조 |
(추천) 피추천자는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 업적요약서, 대표 업적자료(대표논문 10편)를 각 1부씩 제출하여 정해진 기간 내에 응모 제출한다.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응모자가 없을 경우 KOPTRI 고분자 학술상 심사위원회에서 피추천자를 추천할 수 있다. |
제 6조 |
(수상자의 선정) 피추천자를 대상으로 KOPTRI 고분자 학술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제 7조 |
(시상) 시상은 매년 추계정기총회에서 상장과 부상으로 500만원을 수여한다. |
제 8조 |
(수상자의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박철민 | 연세대학교 |
2019 | 김동하 | 이화여자대학교 |
2018 | 이태우 | 서울대학교 |
|
상패/300만원 |
춘·추계 각 3명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중견학술상"이라 칭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 과학과 공학의 발전에 공헌하고 고분자 분야의 연구 활동에 탁월한 실적을 쌓은 우수 중견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수행한 고분자 과학 및 공학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연구 실적을 쌓고 이 분야의 발전에 공헌한 박사학위 취득 후 7년이 경과된 중견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최근 5년간 대표 논문 5편의 수월성을 심사한다. 단, 신진학술상 등 기타 학회상 수상 시 사용한 실적은 대표 실적에서 제외한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대표 논문, 그리고 대표 실적의 수월성을 입증하는 자료를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 연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응모자가 없을 경우 학술상 심사위원회에서 피추천자를 추천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300만원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춘계 및 추계 각 3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추계) | 강영종
김봉수 김희숙 | 한양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KIST |
2020(춘계) | 김도환
임성갑 조정호 | 한양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연세대학교 |
2019(추계) | 김병수
양창덕 |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
2019(춘계) | 신흥수
유필진 장우동 | 한양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
2018(추계) | 구종민
윤명한 정광운 | KIST GIST 전북대학교 |
2018(춘계) | 이동윤
이승우 | 한양대학교 영남대학교 |
2017(추계) | 박수진
류두열 |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연세대학교 |
2017(춘계) | 김영규
오준학 | 경북대학교 POSTECH |
2016(추계) | 노용영
한세광 | 동국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2016(춘계) | 박재형
우한영 |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
2015(추계) | 김동하
김원종 | 이화여자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2015(춘계) | 이태우
진형준 | 포항공과대학교 인하대학교 |
2014(추계) | 박철민
홍성철 | 연세대학교 세종대학교 |
2014(춘계) | 광전자분야 : 이준엽
의료용분야 : 이상천 | 단국대학교 경희대학교 |
2013(추계) | 기초분야 : 박태호
기능성분야 : 이택승 | 포항공과대학교 충남대학교 |
|
상패/200만원(2017~) |
춘·춘계 각 2명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박사 학위 취득후 7년 이하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신진학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신진과학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추천마감일 기준으로 고분자과학 또는 공학분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7년이 경과하지 않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다. 학위는 국내, 국외에 상관없이 평가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최종학위 후에 낸 업적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분야에 확실한 자리 매김을 하였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해당기간 교신저자가 표시된 대표 논문목록 1부 및 증빙자료를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하였으나 시한에 저촉되지 않는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2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200만원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춘계 및 추계 각 2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추계) | 이동욱 이효민 | 울산과학기술원 POSTECH |
2020 (춘계) | 이병훈 정경원 | 이화여자대학교 조선이공대학교 |
2019 (추계) | 심태섭 우상혁 | 아주대학교 중앙대학교 |
2019 (춘계) | 문홍철 윤영수 | 서울시립대학교 강원대학교 |
2018 (추계) | 왕동환 장재영 | 중앙대학교 한양대학교 |
2018 (춘계) | 박준규 정인환 | (주)시지바이오 국민대학교 |
2017 (추계) | 곽민석 방창현 | 부경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2017 (춘계) | 선정윤 정대성 | 서울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
2016 | 오진우 이정용 | 부산대학교 KAIST |
2015 | 서명은 이강원 | KAIST KIST |
2014 | 정연식 김병수 | KAIST 울산과학기술대학교 |
2013 | 이승우 박문정 | 영남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2012 | 류두열 김원종 | 연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2011 | 김범준 유필진 | KAIST 성균관대학교 |
2010 | 방준하 이수홍 | 고려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
2009 | 박지웅 조진한 | 광주과학기술원 국민대학교 |
2008 | 김상욱 신규순 | KAIST 서울대학교 |
2007 | 안철희 이태우 | 서울대학교 삼성종합기술원 |
2006 | 박철민 이근용 |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
2005 | 김동유 손병혁 | 광주과기원 서울대학교 |
2004 | 강길선 황도훈 | 전북대학교 금오공과대학교 |
2003 | 나재운 김종만 | 순천대학교 한양대학교 |
2002 | 진성호 원종옥 | 부산대학교 세종대학교 |
2001 | 김성훈 이명수 | 한양대학교 연세대학교 |
|
상패/200만원(2016) |
춘계 2명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박사 학위 취득후 7년 이하+ 45세 이하
|
|
상장/$1500(~2015) |
|
|
|
Wiley-PSK Journal of Polymer Science Young Scientist Award 1명, Wiley-PSK Macromolecular Rapid Communications Young Scientist Award 1명
|
상패/300만원 |
추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제1저자 100만원, 해당연구실 200만원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TCI 우수고분자연구상”으로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 과학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업적을 낸 연구자 및 해당 연구실을 포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고분자 과학기술 분야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낸 논문 제1저자 및 해당 연구실을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춘계: 고분자 과학기술 분야 우수 논문 1편(전년도 1월 1일부터 전년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평가한다.
추계: 고분자 과학기술 분야 우수 논문 1편(전년도 9월 1일부터 당해연도 8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평가한다.
심사용 서류로 우수논문, 논문요약서, 논문에 포함된 저자의 동의서를 1부씩 제출한다. |
제 5조 |
(수상자의 선정) 피추천자를 대상으로 TCI 우수고분자연구상 심사위원회에서 선정한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매년 춘·추계 정기총회에서 제1저자에게 상장과 부상으로 100만 원, 해당 연구실에 상패와 200만 원을 수여한다.
|
제 7조 |
(수상자의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부칙 |
제 6조(시상)은 2020년부터 시행한다.
부칙 제 4조(심사내용)은 2020년부터 시행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추계) | 오솔미 | 울산과학기술원 (지도교수: 김소연) |
2020 (춘계) | 원수경 | 인하대학교 (지도교수: 위정재) |
2019 | 송우진 | 포항공과대학교 (지도교수: 박수진) |
2018 | 김관우 | 포항공과대학교 (지도교수: 박태호) |
|
상패/100만원 |
추계 |
각 편집위원회 |
 |
국문지, 영문지 각 1명. (~2000년: 학술상)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우수논문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학회 영문학술지와 국문학술지에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사람을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수상자격) 심사일 기준 지난 3년간 해당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며, 주 저자에게 시상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대상 기간동안 해당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의 양과 질을 평가한다. |
제 5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100만원으로 한다. |
제 6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영문학술지, 국문학술지 각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영문지:조재영 국문지:김영호 | 서울대학교 숭실대학교 |
2019 | 영문지:안태규 국문지:이평찬 | 한국교통대학교 자동차부품연구원 |
2018 | 영문지:박한수 국문지:김성룡 | 중앙대학교 한국교통대학교 |
2017 | 영문지:이용규 국문지:이성재 | 한국교통대학교 수원대학교 |
2016 | 영문지:노시태 국문지:하기룡 | 한양대학교 계명대학교 |
2015 | 영문지:손태일 국문지:류민영 | 중앙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2014 | 영문지:노영창 국문지:고영수 | 원자력연구원 공주대학교 |
2013 | 영문지:박기동 국문지:이동원 | 아주대학교 전북대학교 |
2012 | 영문지:심상은 국문지:허강무 | 인하대학교 충남대학교 |
2011 | 영문지:김우년 국문지:이종휘 | 고려대학교 중앙대학교 |
2010 | 영문지:김지흥 국문지:설수덕 | 성균관대학교 동아대학교 |
2009 | 영문지:원종옥 국문지:장진해 | 세종대학교 금오공대학교 |
2008 | 영문지:김학용 국문지:마영대 | 전북대학교 단국대학교 |
2007 | 영문지:김성훈 국문지:김오영 |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
2006 | 영문지:공명선 국문지:이상원 | 단국대학교 숭실대학교 |
2005 | 영문지:박오옥 국문지:이영관 | KAIST 성균관대학교 |
2004 | 영문지:이문호 국문지:남재도 | 포항공과대학교 성균관대학교 |
2003 | 영문지:강길선 국문지:이해방 | 전북대학교 한국화학연구원 |
2002 | 영문지:제갈영순 국문지:서길수 | 경일대학교 영남대학교 |
2001 | 영문지:이해방 국문지:황택성 | 한국화학연구원 충남대학교 |
2000 | 박수진 | 한국화학연구원 |
1999 | 강호종 | 단국대학교 |
1998 | 신영조 송기국 | 부산대학교 경희대학교 |
1997 | 문탁진 | 고려대학교 |
1996 | 박이순 | 경북대학교 |
1995 | 하창식 장정식 | 부산대학교 서울대학교 |
1994 | 임승순 | 한양대학교 |
1993 | 조원제 | 부산대학교 |
1992 | 김병규 | 부산대학교 |
1991 | 정한모 | 울산대학교 |
1990 | 김우식 김광웅 | 경북대학교 KIST |
1989 | 이동호 | 경북대학교 |
1988 | 김계용 진정일 김성철 | 한양대학교 고려대학교 KAIST |
|
상패/500유로 |
추계 |
영문지편집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MR-Springer Award"라 한다. |
제 2조 |
(상의 목적) 이 상은 고분자 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본 학회 영문학술지(MR)에 우수한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수상자격) 심사일 기준 지난 3년간 해당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며, 주 저자에게 시상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대상 기간동안 해당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인용된 정도를 중심으로 평가한다. |
제 5조 |
(시상) 시상은 상패와 부상 500 유로로 한다. |
제 6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허도성 | 인제대학교 |
2019 | 김진환 | 성균관대학교 |
2018 | 안동준 | 고려대학교 |
2017 | 임상혁 | 고려대학교 |
2016 | 장진해 | 금오공과대학교 |
2015 | 박수영 | 경북대학교 |
2014 | 한학수 | 연세대학교 |
2013 | 신흥수 | 한양대학교 |
2012 | 이창수 | 충남대학교 |
2011 | 이문호 | 포항공과대학교 |
|
상패/300만원 |
춘계 |
기술공로상 심사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기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우수한 기술개발업적을 낸 연구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최근 우수한 기술을 개발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대상업적전체를 평가하나 특정 기술분야에 탁월한 업적을 내었는가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수상후보자가 소속한 기관장이나 학회 회원 2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와 업적 증빙자료를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추천자 중 당해년도에 시상하지 못한 사람의 경우, 심사위원회에서 다음 1년간 별도의 추천없이 업적자료만 추가할 것을 요청하여 심사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 300만원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정용철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2019 | 한중탁 | 한국전기연구원 |
2018 | 권정돈 | 두산전자BG |
2017 | 김상태 | 동우화인켐 |
2016 | 김성룡 | 효성 |
2015 | 박상현 | 롯데케미칼 |
2014 | 양세우 | LG화학 |
2013 | 김현철 | LG화학 |
2012 | 여승욱 | LG화학 |
2011 | 이충훈 | LG화학 |
2010 | 이문복 | 도레이첨단소재 |
2009 | 김노마 | LG화학 |
2008 | 최진환 | 제일모직 |
2007 | 안정헌 | LG화학 |
2006 | 장석기 | 엘지화학 |
2005 | 정특래 | 키토라이프 |
2004 | 양춘병 | 삼성아토피나 |
2003 | 정영태 | 대한유화 |
2002 | 오석헌 | 한화 |
2001 | 이찬홍 | 엘지화학 |
2000 | 배효근 | 삼화페인트 |
1999 | 송병규 | 대림산업 |
1998 | 최창현 | 삼성종합화학 |
1997 | 김정호 | 미원유화 |
1996 | 이병형 | 유공연구소 |
1995 | 우상선 | 제일모직 |
1994 | 황기호 | SKI연구소 |
1993 | 최진석 | 동성화학 |
1992 | 이정대 | 고려화학 |
1991 | 김기수 | 동양나이론 |
1990 | 박정문 | 동진화성 |
1989 | 박 훈 | SKC연구소 |
1988 | 이승조 이용두 여종기 | 코오롱 삼양사 럭키중앙(연) |
|
상패 |
춘·추계 |
기술공로상 심사위원회 |
 |
춘, 추계 관련 없이 적절한 대상자가 있을 때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벤처기술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 및 공학과 고분자 분야의 진취적 연구 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사업화를 이룬 우수한 기술을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국내에서 최근 성공한 벤처기업의 기술을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 대상 기업의 특정 고분자기술 분야의 탁월성을 평가하나 기업의 전반적인 상황도 고려한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2명 이상의 추천을 받아 벤처기업의 개략적인 상황과 특정 고분자 기술의 설명이 포함된 신청서와 업적 증빙자료를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피 추천기업 중 당해연도에 시상하지 못한 경우, 다음 1년간 별도의 추천 없이 보충 자료만 추가하여 응모 할 수 있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상패로 한다. |
제 7조 |
(수상기술 수) 수상기술은 1개 기술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16 | 박상철 | (주)태경하이텍 |
2015 | 백승준 | (주)미뉴타텍 |
2012 | 변준석 | 파낙스이텍(주) |
2011 | 전요섭 | 해원바이오테크 |
2010 | 심명식 | 아팩 |
2009 | 강득주 | 제이오 |
2008 | 장경호 | 이녹스 |
2007 | 김진열 | 나노이닉스 |
2006 | 유현오 | 제닉 |
2005 | 김인선 | 아이컴포넌트 |
2004 | 정광춘 | 잉크테크 |
|
상패/금메달(10돈) |
춘·추계 |
기술공로상 심사위원회 |
 |
춘, 추계 관련 없이 적절한 대상자가 있을 때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공로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의 발전을 위하여 특별한 공로가 있는 사람에게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한국고분자학회, 고분자과학 및 공학의 발전에 공헌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내용) 대상업적전체를 평가하나 본 학회에 대한 공헌도에 비중을 둔다. |
제 5조 |
(추천) 학회 회원 3명의 추천을 받아 업적 목록이 포함된 이력서를 제출토록 한다. 필요한 경우 업적 증빙자료를 제출토록 한다. 주 추천인은 추천서에 해당 업적의 요약을 포함하여 추천 근거를 기록하여야 한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금메달 10돈)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1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12 (추계) | 진정일 김성철 | 고려대학교 KAIST |
2006 (특별공로상) (추계)
| 심정섭 노익삼 김정엽 | |
2004 (춘계) | 조의환 | |
2002 (추계) | 김은영 | |
|
상장/50만원 |
춘계 |
학술상 심사위원회 |
 |
석박사 학위 취득후 2년 이내, 각 2명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우수학위논문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국내 고분자과학과 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또한 고분자분야의 진취적 연구활동을 촉진하기 위하여 고분자과학 및 공학분야의 대학원 교육과정 중 우수한 연구성과를 낸 사람을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석사/박사 과정중 고분자학회 회원자격을 일정기간 이상(석사일 경우 1년이상, 박사일 경우 2년이상) 유지한 자로 시상일 이전 2년 내에 국내에서 석, 박사학위를 받고 시상일 까지 2년이 경과하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단 학위수여 후 1회에 한하여 추천 받을 수 있다. |
제 4조 |
(심사내용) 대학원 과정 중에 이룩한 고분자관련 우수한 연구성과를 (기 출판되었거나 출판 승인된 학술지 논문 및 특허 등의 양과 질을) 평가 한다. |
제 5조 |
(추천) 지도교수의 추천으로 하며 이력서와 해당기간 업적자료 전체를 (학위논문 제외) 1 부씩 제출토록 한다. |
제 6조 |
(시상) 시상은 상장과 부상(50만원)으로 한다. |
제 7조 |
(수상자 수) 수상자는 석사학위자, 박사학위자 각 2명을 원칙으로 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 | 소속 |
2020 | 이상면 홍기현 진호철 한나라 | UNIST(박사학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박사학위) 부경대학교(석사학위) 한밭대학교(석사학위) |
2019 | 박원태 이지은 김건우 최지현 | 동국대학교(박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 인천대학교(석사학위) 충남대학교(석사학위) |
2018 | 김대윤 이은광 차윤정 김윤환 정혜중 | 전북대학교(박사학위) UNIST(박사학위) KAIST(박사학위) 부경대학교(석사학위) 중앙대학교(석사학위) |
2017 | 김권현 이정훈 진영재 진선미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UNIST(박사학위) 경북대학교(박사학위) 충남대학교(석사학위) |
2016 | 이정훈 김신애 조장환 | 인하대학교(박사학위) 인천대학교(석사학위) 중앙대학교(석사학위) |
2015 | 윤영수 이보람 구강희 김인혜 오찬석 | 인하대학교(박사학위) 울산과학기술원(박사학위) KAIST(석사학위) 충남대학교(석사학위) 단국대학교(석사학위) |
2014 | 정재웅 정경화 진영재 하예은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이화여자대학교(석사학위) 경북대학교(석사학위) 부경대학교(석사학위) |
2013 | 권오석 김은혜 조용주 김다연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연세대학교(박사학위) 단국대학교(석사학위) 아주대학교(석사학위) |
2012 | 이승우 이위형 전순옥 현동춘 김대근 | KAIST(박사학위) 포항공과대학교(박사학위) 단국대학교(박사학위) 연세대학교(박사학위) 충남대학교(석사학위) |
2011 | 이경진 이선화 임정아 주철웅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KAIST(박사학위) 포항공과대학교(박사학위) 단국대학교(석사학위) |
2010 | 김성현 김윤호 나석인 육경수 이왕은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KAIST(박사학위) 광주과학기술원(박사학위) 단국대학교(석사학위) 경북대학교(석사학위) |
2009 | 김호중 윤현석 함석규 김경숙 김혜련 | 연세대학교(박사학위) 서울대학교(박사학위) 포항공과대학교(박사학위) 부경대학교(석사학위) 경북대학교(석사학위) |
2008 | 강상욱 유영민 윤동기 안현희 최문수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서울대학교(박사학위) KAIST(박사학위)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 충남대학교(석사학위) |
2007 | 배준원 조정호 장민철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포항공과대학교(박사학위) 서울대학교(석사학위) |
2006 | 유자형 황하수 | 연세대학교(박사학위) 부경대학교(박사학위) |
2005 | 안병관 오준학 김정근 | 서울대학교(박사학위) 서울대학교(박사학위) 연세대학교(석사학위) |
2004 | 박수진 임성택 | 포항공과대학교 인하대학교 |
2003 | 손지원 류두열 | 서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
2002 | 신태주 | 포항공과대학교 |
2001 | 이원목 정임식 | 포항공과대학교 KAIST |
|
상장/부상 |
춘·추계 |
학술위원회 |
 |
규정 |
내용 |
제 1조 |
(명칭) 이 상은 한국고분자학회 “우수논문발표상”이라 한다. |
제 2조 |
(목적) 이 상은 고분자학회의 학술정보교류 및 학술활동을 진작시키고자 학회의 연구논문발표회에서 우수 발표자를 포상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 3조 |
(피추천자격) 학회에서 개최한 춘,추계 연구논문발표회에서 발표된 구두 및 포스터 중에서 응모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제 4조 |
(심사) 학술위원회에서 심사위원을 구성하며, 연구의 창의성, 연구결과의 우수성 및 발표의 명확성을 심사기준으로 하여 평가한다. |
제 5조 |
(시상) 시상의 내용 및 수상자 수는 학술위원회에서 결정한다. |
수상년도 | 수상자(소속) |
2020(추계) |
구두(일반) |
고재완(고려대학교) 권은혜(인천대학교) 권혁민(한양대학교) 김도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민성(UNIST) 김소담(부산대학교) 김수경(POSTECH) 김은우(충남대학교)
김진석(서울대학교) 류승운(POSTECH) 박시훈(KAIST) 박정은(인하대학교) 손혜빈(POSTECH)
엄태식(인하대학교) 오민택(충남대학교) 이영준(KAIST) 장원태(KAIST) 정재환(단국대학교)
최경현(DGIST) 최기원(한양대학교) 한임경(POSTECH) 홍서화(단국대학교) |
구두(영어) |
Asmita Banstola(계명대학교) Kusuma Betha Cahaya Imani9(부산대학교)
NGUYEN MINH DUONG(한양대학교) 김용민(서울시립대학교) 김종윤(DGIST)
김진민(POSTECH) 송원준(서울대학교) 신이삭(KAIST) 이지은(서울대학교)
임석인(전북대학교) 최후연(UNIST)
|
2019(추계) |
포스터 |
Ajeesh Chandrasekharan(부산대학교) Moumita Gupta(GIST) Yu Zhang(부산대학교)
권은혜(인천대학교) 김도윤(서울대학교) 김동우(부산대학교) 김영윤(한국화학연구원)
김예찬(UNIST) 김윤아(한양대학교) 김재광(인하대학교) 김종윤(DGIST) 김종현(KAIST)
김형종(고려대학교) 나윤서(이화여자대학교) 남기호(연세대학교) 남지윤(KAIST)
노혁준(UNIST) 문경민(KITECH) 문유경(이화여자대학교) 박광훈(경상대학교) 박상혁(KAIST)
박소영(POSTECH) 박수홍(고려대학교) 박재현(GIST) 박종민(서울대학교) 박현정(KAIST)
박희정(단국대학교) 서지애(고려대학교) 서지원(중앙대학교) 서한진(POSTECH)
신동인(성균관대학교) 신지연(충남대학교) 신지혜(KAIST) 쑹원리양(부산대학교)
유다현(이화여자대학교) 이민기(인하대학교) 이민혜(한국화학연구원) 이상연(인하대학교)
이서린(중앙대학교)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이예찬(부산대학교) 이유진(부산대학교)
이지현(성균관대학교) 이창현(KAIST) 이택호(UNIST) 이혜정(GIST) 임지현(중앙대학교)
전승배(연세대학교) 정찬호(성균관대학교) 조재상(중앙대학교/전자부품연구원)
진우경(연세대학교) 최기원(한양대학교) 최다희(연세대학교) 최부민(서울대학교)
최예훈(KAIST) 최용석(연세대학교) 하성균(성균관대학교) 한명근(POSTECH)
한민수(연세대학교) 한소희(연세대학교) 한의영(연세대학교) 허태영(홍익대학교)
홍영주(연세대학교) 황산주(이화여자대학교) 황은혜(UNIST) 황진영(아주대학교) |
구두(일반) |
김민성(중앙대학교) 서현정(한남대학교) 오준용(UNIST) 원수경(인하대학교) 유호선(KAIST)
이민석(KAIST) 이상준(한양대학교) 임새영(숭실대학교) 정윤선(한양대학교) |
구두(영어) |
Tanum Junjira(연세대학교) 박도연(KIST) 박병학(성균관대학교) 안 솔(인하대학교)
오왕석(GIST) 이우섭(연세대학교) 이인규(건국대학교) 이재원(고려대학교) 조경국(인하대학교) 최한형(KIST/서울대학교) 홍기현(KIST) |
2019(춘계) |
포스터 |
Y Loan To Nguyen(아주대학교) 강동규(전북대학교) 궈위엔항(부산대학교)
권한나(이화여자대학교) 김가현(이화여자대학교) 김건영(KAIST) 김경주(한남대학교)
김경호(부산대학교) 김민성(중앙대학교) 김민성(UNIST) 김병기(중앙대학교)
김성현(부산대학교) 김세민(전남대학교) 김영웅(KAIST) 김 윤(한남대학교)
김의혁(연세대학교) 김재희(한양대학교) 김종빈(KAIST) 김진실(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태형(UNIST) 박상우(서울대학교) 박정은(인하대학교) 박종진(GIST) 박준화(인천대학교)
박찬호(연세대학교) 서의현(한양대학교) 신하은(KIST) 오왕석(GIST) 유성훈(DGIST)
윤태용(서울시립대학교) 이서윤(한양대학교) 이승주(고려대학교) 이영웅(고려대학교)
이재경(인하대학교) 이채규(UNIST) 이한울(인하대학교) 전경국(아주대학교)
전광훈(금오공과대학교) 정우혁(고려대학교) 조경국(인하대학교) 조국현(부산대학교)
조성준(연세대학교) 조승희(KAIST) 채상민(부산대학교) 최은호(성균관대학교)
최종선(충남대학교) 최한빈(한양대학교) 최현태(POSTECH) 홍승균(경기대학교)
홍자연(이화여자대학교) 황지수(금오공과대학교) |
구두(일반) |
구제형(한양대학교) 김수진(KIST) 김영권(KAIST) 김지건(한양대학교) 이재원(경북대학교)
이지은(부산대학교) 이혜정(GIST) 장웅식(중앙대학교) 전지수(인하대학교) 최대건(인천대학교)
최연수(가톨릭대학교) |
구두(영어) |
Dieu Linh Tran(아주대학교) 김기관(GIST) 김도윤(서울대학교) 김세영(서울대학교)
남기범(경북대학교) 박재현(UNIST) 박주혜(전남대학교) 송경민(KAIST) 윤근태(KAIST)
이성민(중앙대학교) 전성권(고려대학교) 전승배(연세대학교) 정지은(고려대학교)
정혜중(연세대학교) 홍동기(UNIST) |
2018(추계) |
포스터 |
강태형(인하대학교) 김도완(서울대학교) 박원기(KAIST) 박재현(UNIST) 박한울(한양대학교)
아티싼 마헤쉬와란(부산대학교) 안성현(POSTECH) 여지원(POSTECH) 원수경(인하대학교)
이상면(UNIST) 이시영(POSTECH) 임대희(GIST) 김지원(KAIST) 박민주(UNIST) 신이슬(UNIST)
|
구두(영어) |
김세정(한양대학교) 김예찬(UNIST) 김재현(성균관대학교) 박수진(인천대학교) 박종민(KAIST)
염정희(UNIST) 이성민(중앙대학교) 조성준(연세대학교)
|
구두(일반) |
김종빈(KAIST) 민지홍(연세대학교) 박소현(연세대학교) 박찬형(고려대학교) 신명수(UNIST)
오민준(성균관대학교) 임승혁(고려대학교) 정진관(서강대학교) 최준환(KAIST) |
WISET∙PSK 젊은 연구자상 |
(구두): 구강희(KAIST) 손영주(강원대학교)
(포스터): 김인혜(충남대학교) 성금용(부산대학교) 하민정(UNIST) 황은별(UNIST) |
2018(춘계) |
포스터 |
Cherukula Kondareddy(전남대학교) NGUYEN MINH DUONG(한양대학교)
김대건(POSTECH) 김현탁(UNIST) 박도연(고려대학교) 박준영(아주대학교)
서동규(서울시립대학교) 유승건(KIST) 이영훈(서울대학교) 이철우(전북대학교/KIST)
천교(국민대학교) 최청룡(POSTECH) |
구두(일반) |
김주성(한양대학교) 김지원(KAIST) 남기호(KIST) 백상열(성균관대학교) 송우진(UNIST)
윤형호(부산대학교) 정찬호(성균관대학교) 조수연(KAIST) |
구두(영어) |
김도흥(KAIST) 남태원(KAIST) 이기수(서울대학교) 이재원(성균관대학교) 전태석(연세대학교)
정소담(UNIST) 조장환(DGIST) 허태영(홍익대학교) |
2017(추계) |
포스터 |
Ajjiporn Dathbun(성균관대학교) 김무성(POSTECH) 김상우(KAIST) 김영훈(연세대학교)
심민지(경기대학교) 유지완(KIST, 고려대학교) 최영환(서울대학교병원) |
구두(영어) |
강동규(전북대학교) 고종국(서울대학교) 정지은(고려대학교) 하민정(울산과학기술원) |
구두(일반) |
박준우(서울대학교) 정우빈(한국과학기술원) |
2017(춘계) |
포스터 |
김대윤(전북대학교) 김도형(울산과학기술원) 박은선(세종대학교) 신재만(KAIST) 이한솔(포항공과대학교) 전재문(서울대학교) 차윤정(KAIST) 최민혁(인하대학교) |
구두(일반) |
김관우(포항공과대학교) 김은미(한양대학교) 이건호(KAIST) |
구두(영어) |
김소영(숭실대학교) 박관용(KAIST) 오민준(성균관대학교) |
2016(추계) |
포스터 |
Prakash ALAGI(세종대학교) Yusuke NAGAE(Kyushu University)
KAZUKI CHIBA(Yamagata University Faculty of Engineering) XIANGDE LIN(중앙대학교)
김나경(서울대학교) 김인혜(충남대학교) 남기범(경북대학교) 박윤재(서강대학교)
박지은(고려대학교) 심율희(UNIST) 이민재(KAIST) 이민창(성균관대학교)
임승호(KIST, 서울대학교) 지은송(숭실대학교) 황한수(GIST) |
RSC Poster Award |
양상희(서울대학교) 오민준(성균관대학교) |
2016(춘계) |
포스터 |
Johnson V.J.(부산대학교) 강민지(GIST) 강전일(인천대학교) 채창근(GIST)
한예지(인하대학교) 호동해(성균관대학교) |
구두(영어) |
김권현(서울대학교) 김선준(KAIST) 김온누리(POSTECH) 허로운(성균관대학교) |
구두(일반) |
김병수(KIST,중앙대학교) 김수환(서울대학교) 남태원(KAIST) 장소현(숭실대학교) |
2015(추계) |
포스터 |
Tarek M. Bedair(KIST) 권나경(UNIST) 권정연(경북대학교) 권준선(숭실대학교)
이봄이(POSTECH) 조장환(중앙대학교) |
구두(영어) |
강영남(POSTECH) 고혜원(성균관대학교) 배중건(서강대학교) 여선주(성균관대학교) |
구두(일반) |
손주영(아주대학교) 이정혜(KIST) |
2015(춘계) |
포스터 |
박준우(KAIST)윤해리(인하대학교)현승(POSTECH) 유승준(서울대학교) 진원용(전북대학교) 김현욱(연세대학교) |
구두(영어) |
하민정(UNIST)성혜정(KAIST) 송은주(POSTECH)박현지(연세대학교) 박성민(연세대학교) |
구두(일반) |
임민영(서울대학교)강홍석(KAIST) |
2014(추계) |
포스터 |
박범진(포항공과대학교) 이정훈(인하대학교) 이주섭(한양대학교) 윤희준(경상대학교) 이보람(UNIST) 박태은(서울대학교) |
구두 |
김정모(KAIST) 라윤주(UNIST) 김진환(POSTECH) 고호경(서울대학교/KIST)
박상식(숭실대학교) 이승애(서울대학교) 백세웅(KAIST) 표재연(포항공과대학교) |
2014(춘계) |
포스터 |
박종화(울산과기대) 박성민(연세대학교) 유현지(서강대학교) 박태훈(연세대학교) 강 일(경상대학교) 김소영(숭실대학교) 김희운(부산대학교) 김민희(충남대학교) |
구두 |
김성수(서울대학교) 조규하 (POSTECH) 유지호(서강대학교) |
2013(추계) |
구강희(KAIST) 권두연(아주대학교) 김규리(KAIST) 김병관(연세대학교) 김온누리(POSTECH) 유호연(KIST) 조계룡(고려대학교) 최효성(UNIST) |
2013(춘계) |
전은경(GIST) 김영훈(성균관대학교 전금혜(POSTECH) 강동진(KAIST) 김정범(서울대학교) 정형구(GIST) 김지훈(POSTECH)강보석(POSTECH) |
2012(추계) |
윤영수(인하대학교) 김병관(연세대학교) 이정훈(UNIST) 임준문(강원대학교) 황인수(충남대학교) 한민구(GIST) 박정홍(POSTECH)홍선기(KAIST)
|
2012(춘계) |
김민수(KIST) 이지혜(서울대학교) 이호연(연세대학교) 원지혜(강원대학교) 조새벽(POSTECH) 황현민(숭실대학교) 김진래(한남대학교) 박태은(서울대학교) |
2011(추계) |
김범준(숭실대학교) 김성연(POSTECH) 김주환(GIST) 남수지(POSTECH) 박 현 (충남대학교) 윤진문(KIST) 장리동(부산대학교) 조용현(서울대학교)
|
2011(춘계) |
구송희(숭실대학교) 김 민(POSTECH) 김현정(인하대학교) 왈리울라(경북대학교) 유미상(고려대학교) 이인현(GIST) 전환진(KAIST) 최수정(한남대학교)
|
2010(추계) |
김대현(한양대학교) 김유나(연세대학교) 남성호(경북대학교) 서영곤(세종대학교) 이승구(POSTECH) 장영선(서울대학교) 장재영(POSTECH) 전인동(한양대학교)
|
2010(춘계) |
길이진(서강대학교) 백연경(KAIST) 서지화(서울대학교) 이명준(고려대학교) 이상준(전남의대) 이승우(KAIST) 최완석(고려대학교) 함민경(숭실대학교)
|
2009(추계) |
김은주(한양대학교) 유미경(서울대학교) 유정목(연세대학교) 윤영수(인하대학교) 이덕현(KAIST) 이민경(중앙대학교) 조아라(POSTECH) 최원일(GIST)
|
2009(춘계) |
강창준(한양대학교) 김기현(서울대학교) 김효중(건국대학교) 나석인(GIST) 신정은(세종대학교) 이경진(서울대학교) 이유한(KAIST) 이진욱(인하대학교)
|
2008(추계) |
김민섭(한양대학교) 문수영(GIST) 비 누(부산대학교) 이규호(인하대학교) 이병홍(KIST) 이승구(POSTECH) 허선행(순천대학교) 황교성(한양대학교)
|
2008(춘계) |
김병수(KRICT) 김호섭(서울대학교) 유현선(경희대학교) 이근탁(연세대학교) 이수미(한양대학교) 정연오(서울대학교) 조희경(경북대학교) 차상호(서울대학교)
|
2007(추계) |
김동주(충주대학교) 설우환(경북대학교) 장민자(순천대학교) 장세규(KAIST) 정상미(GIST) 정주은(POSTECH) 홍진용(서울대학교)
|
2007(춘계) |
박준규(순천대학교) 안선영(POSTECH) 유미경(GIST) 이연주(세종대학교) 이정민(연세대학교) 임호선(POSTECH) 최종훈(아주대학교)
|
2006(추계) |
전민아(고려대학교) 김정주(고려대학교) 이석영(한양대학교) Vinukrishnan A.(부산대학교) 조홍렬(부산대학교) 서명은(KAIST) 박기호(인하대학교) 홍성우(서울대학교) 조용래(부산대학교) 이선화(KAIST)
|
2006(춘계) |
정봉훈(POSTECH) 이소영(한양대학교) 한승산(KRICT) 박치영(인하대학교) 김재훈(KIST)
|
2005(추계) |
박치영(인하대학교) 김태희(인하대학교) 조정호(POSTECH) 김동곤(순천대학교) 정경혜(경북대학교) 윤석호(인하대학교) 정대환(KAIST)
|
2005(춘계) |
김준호(한남대학교) 윤성준(서울대학교) 임미선(배재대학교) 장윤정(경북대학교) 정용일(GIST) 조민주(고려대학교) 차승환(KIST)
|
2004(추계) |
배우진(서울대학교) 손소희(순천대학교) 안영락(서울대학교) 이민수(KIST) 이상화(인하대학교) 장우영(전북대학교) 주문규(부산대학교)
|
2004(춘계) |
이종순(경희대학교) 이지민(한양대학교) 백남섭(한남대학교) 최지수(KAIST) 박인규(서울대학교) 고동현(아주대학교) 최종규(산업자원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