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산업에서 경량화 및 소재 고급화에 대한 기술 니즈가 증대됨에 따라 그 효과가 큰 차체 외판 (루프, 후드 등) 및 샤시 부품에 복합재료 적용을 위한 연구가 완성차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Purpose Built Vehicle, Air Mobility 그리고 Robotics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산업들이 출현함에 따라 소량·다품종 부품에 적합한 복합재료 설계/재료/해석 그리고 생산기술에 대한 기술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합재료는 금속재료 대비 높은 소재 가격 및 낮은 생산성 (Cycle-Time)으로 인한 "경제성 문제"와 "품질 안정화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최근 유럽 내 자동차 산/학/연을 중심으로 차세대 복합재료 제조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소량·다품종 생산에 적합한 자동적층 (Automated Fiber Placement) 기술을 적용, 복합재료 생산 품목 다원화 및 확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단일 품목, 대량 생산에 적합한 HP-RTM 전용 Preform 센터 대비 자동적층은 (1) 장비/시설 투자비 절감, (2) 데이터 기반 생산 공정 관리 그리고 (3) 적층 품질 개선 및 Cycle-Time 단축에도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표에서는 차량 및 미래 모빌리티용 복합재료 기술 대응을 위한 자동적층 기술 개발 사례 및 향후 계획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