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lymer Society of Korea

Login Join
Login Join

SITE MAP

Program

Sessions

2L5 bookmark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 기능성 고분자 및 복합소재 (1)

  • Oct 01(Wed), 2025, 11:00 - 13:00
  • 5회장 (101-2호)
  • Chair : 김동균
10:50 - 11:15
bookmark

[2L5-1]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자동차용 친환경 소재 기술 동향

발표자이평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책임자이평찬 (한국자동차연구원)

공동저자이평찬 (한국자동차연구원)

Abstract

세계적인 지속성장 가능한 사회 실현을 위한 환경 규제 강화는 소재 혁신과 기술 개발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은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생산자에게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 일정량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 하고 있으며, 생산단계에서부터 재활용이 가능하게끔 설계를 의무화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도 EU 집행위원회에서 차량 폐기물 관리 순환성 요건 강화를 위해 EU 폐차처리지침 개정안을 공개하였다. 신차 함유 재활용 플라스틱 비율과 폐차 재활용 플라스틱 재활용 비율 규정을 강화하여 산업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니라 주요국들은 환경인체유해성이 입증된 소재에 대한 사용규제를 시행 중이며 이에 따른 소재 부품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산업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있는 자동차용 친환경 소재 기술을 혁신하여 미래 모빌리티 소재부품 신시장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

Poster